본문 바로가기
연애의 정석

엄마와 딸 무서운 '시크릿의 법칙'

by 올드아미 2021. 2. 5.
반응형

시크릿의 법칙은 다들 아실 겁니다. 한마디로,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는 법칙입니다.

'끌어당김의 법칙' 이라고도 하죠.

20년 전부터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해서 각종 자기계발서들의 단골메뉴가 되었죠.

실제 이 법칙을 이용해서 금전적인 성공과 행복을 찾게 되었다는 등의

경험담이 봇물을 이루기도 했습니다.

심리학이나 형이상학 뿐만 아니라 뇌과학 등에서도 이 시크릿의 법칙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그런데 간절히 원하면 이루어진다는게 사실이면

이 세상에 가난하거나 불행한 삶을 사는 사람들이 없어야 하는데

현실은 그렇지 않죠.

이 법칙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람들이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무작정 원해야 되는게 아닌 어떤 원리를 이해해야 한다는 사실입니다.

 

찢어지게 가난한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 사람은 시크릿의 법칙을 알고 시간날때마다 돈더미에 묻힌 상상을 하고

비싼 세단을 타고 고급아파트에 사는 걸 원했습니다.

그러나 이 사람은 오랜 시간이 흘러도 상황은 변하지 않고

오히려 더 가난해지기만 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이 사람은 늘 부유함을 원했지만 그의 뇌리에는 항상 가난을 벗어나기 위한

부유함을 상상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결핍과 가난이라는 자신의 현재 처지를 항상 염두에 두고

있었다는 말입니다.

 

예를 바꿔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어떤 가정에서 툭하면 아내에게 폭언과 폭행을 일삼는 남편이 있었습니다.

자신의 마음에 안들면 늘상 물건을 집어던지며 욕을 하고 술에 취하면

아내를 무자비하게 폭행하는 그런 남자였습니다.

심지어는 자식들에게도 폭력을 가합니다.

어린딸은 엄마 아빠의 이런 모습을 보고 자랍니다.

나이가 들면서 아빠와 같은 사람과는 결코 연애도 결혼도 하지 않을거라

맹세합니다.

훗날 성인이 된 어린딸은 어떻게 변했을까요?

50%이상이 아빠와 같은 폭력적인 남자를 애인 이나 남편으로 두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외국대학에서 심리학 연구의 일환으로 실험자를 대상으로

오랜 세월 추적해서 입증된 결과입니다.

자신은 결코 엄마와 같은 인생을 살지 않을거라며 매일매일 다짐하지만

소수만이 이 상황에서 벗어날 뿐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사람

대를 이어 폭력적인 남자와 사는 여자.

둘 다 다른 삶을 원했지만 결국은 똑같은 삶을 영위할 뿐입니다.

 

가난한 사람은 부유함을 원하면서 늘 가난의 결핍을 마음에 두고 있었고

여자는 자상한 남자를 원하면서 늘 폭력적인 아빠와 고통받는 엄마를

마음 깊은곳에 각인시키고 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시크릿의 법칙이 사람의 마음에 강렬히 새겨져 있는걸

현실에 반영시켰던 겁니다.

 

이는 굉장히 중요한 사실입니다.

부유하길 원하면 가난에 대해서는 더이상 생각 자체를 거부해야 합니다.

좋은 남자를 원하면 더이상 폭력적인 아빠의 기억을 지워야 합니다.

가난을 벗어나고 싶어 부자가 된다거나

엄마 같은 여자가 되기 싫어 좋은 남자을 만나거나 하는

원하는 것의 이유를 다른것으로 대체해야 합니다.

아니면 계속해서 나쁜 상황이 발생할 뿐입니다.

시크릿의 법칙의 주체인 우주가 당신이 이런 상황을 원한다고

생각해서 지속적으로 같은 상황을 펼쳐보이기 때문이죠.

 

기존의 나쁜 기억들을 뇌속에서 삭제를 시키는게 제일 좋은 방법입니다.

그래야만 상황을 역전시킬수 있습니다.

이는 훈련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반복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진정으로 좋은 남자를 원한다면 기존의 안좋은 기억들과

영원하고 확실한 이별을 해야 합니다.

불행한 엄마의 삶을 정말로 싫어했으면서

어느 순간 자신이 아빠와 같은 유형의 남자를 만나고

엄마와 판박이 같은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해 보십시오.

지옥이 따로 있을 겁니다.

 

'엄마 같은 인생을 살긴 싫어. 폭력적인 아빠와는 다른 남자와 결혼할거야'

가 아닌

'행복한 가정과 미래의 내 아이들을 위해 자상하고 멋진 남자와 결혼할거야'

로 바꾸면 어떨까요?

자신이 원하는 삶의 원인을 늘 긍정적이고 희망적인 것으로 

바꾸는 노력을 해보십니다.

그러면 원치않는 과거와 이별할 수 있을 겁니다.

반응형